UPDATED. 2024-04-20 13:45 (토)
한은, 기준금리 동결
한은, 기준금리 동결
  • 뉴미디어팀
  • 승인 2013.10.10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개월째 연 2.50%, 금리 아직 손댈 시기 아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묶었다.

한은 금통위는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5월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2.50%로 내린 이후 다섯달 연속 동결한 것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미뤄진데다 기준금리의 첫 번째 고려요소인 소비자물가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 이후 경기 회복 징후가 더 뚜렷해졌긴 했지만 확신하기엔 이른다. G2(미국,중국)발 악재가 도사리고 있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 경제의 둔화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엔 위험 신호다.

9월 수출(447억4100만 달러)은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여파로 1년 전보다 1.5% 줄었지만, 하루 평균 수출액(22억4000만 달러)으로 따지면 역대 최고다. 8월 광공업생산은 전달보다 1.8% 늘어 9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였고, 설비투자도 0.2% 상승했다. 앞으로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5개월째 상승세다. 8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3만2000명 증가해 지난해 9월(68만5000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부에선 0%대인 소비자물가를 변수로 인식하곤 했다. 한은의 중기 물가관리 목표(2.5~3.5%)에 한참 벗어나 있어서다. 9월 물가상승률은 0.8%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0.8%) 이후 가장 낮다. 그러나 김준일 부총재보는 지난 4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 기자설명회에서 "저물가에 일일이 통화정책으로 대응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의 정책 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홀로 다르게 갈 만큼의 특이 요인은 없다"고 진단했다.

9월 초 인도의 기습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국가가 미국 양적완화 축소 연기에 따른 영향으로 통화정책 방향을 정하지 않았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채권분석팀장은 "추가적인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 변경은 필요없어 보인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물가로 인한 금리 인상 유인도 크지 않다"고 전했다.

"금리 변경,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
연내 기준금리 조정은 물 건너간 분위기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내년 하반기 이후의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김진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거시분석실장은 "내년 상반기 정책금리 변화 가능성이 거론되겠지만 실제 조정은 하반기에나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기홍 외환은행 경제연구팀 연구원도 "통화정책 방향이 인상 쪽으로 기운다. 다만 그 시점이 내년 상반기보다는 하반기가 더 유력해 보인다"고 예측했다.

김선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거시금융팀장은 "경기 성장세가 안정권에 접어드는 내년 말 쯤에야 금리 인상 여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늦춰진다면 그 시기는 2015년 초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