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빼고 결혼비용만 평균 5198만원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 예정자 10명중 여덟 명은 우리사회의 결혼문화에 대해 "호화 사치 풍조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2년 이내 결혼식을 치른 당사자 및 혼주 1000명(각 500명)을 대상으로 결혼문화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85.0%는 "호화 사치 풍조가 존재한다"고 답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고 22일 밝혔다.
그 요인으로 '남만큼 호화로운 결혼식을 치러야 한다'는 의식이 27.6%로 가장 많았고, 이어 '물질만능의 사회풍조(24.6%), '사회지도층의 과시적 혼례(21.5%), '건전한 결혼모델 부재(17.4%) 등을 꼽았다.

또 신혼집 마련 비용을 제외한 1인당 평균 비용은 5198만원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혼수가 1594만3000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예물(737만4000원), 예단(665만6000원), 피로연식대(573만8000원), 신혼여행(409만2000원) 등의 순이었다.
특히 결혼비용은 1인당 최저 334만원부터 최고 3억3650만원까지 100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피로연 식대는 최저 20만원에서 최고 5000만원으로 250배나 차이가 났고, 예물비가 최저 50만원에서 최고 8500만원, 함들이가 최저 5만원에서 최고 800만원으로 각각 160배 차이를 보였다.
소득계층별로는 월 300만원 이하 소득가구의 결혼 평균비용이 예식장 비용을 포함해 4093만원, 월 800만원 이상인 가구는 7239만원으로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 가구당 주택 마련 비용은 구입이 2억7200만원, 전세는 1억5400만원으로 남녀 모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항목인 것으로 조사됐다. 혼주 역시 주택마련에 대한 부담이 가장 컸다.
이기헌 유통조사팀장은 "건전하고 검소한 결혼 추진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공시설 결혼식'이 단순한 시설대여 차원이 아닌 진정한 결혼식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며 "정부에 ▲결혼 당사자 위주의 간소하고 뜻 깊은 작은 결혼식 등 새로운 결혼모형을 개발·보급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해 줄 '결혼 상품·서비스 비교정보 제공체계 구축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