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9 21:29 (목)
몽골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몽골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조남권 레인보우트리 상임이사
  • 승인 2014.08.12 12: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몽골 경제협력> 몽골, 경제성장률 세계 1~2위

세계는 저성장 시대로 접어들었지만 지난해 GDP성장률이 무려 12%인 나라가 있다. 2011년 성장률 17.3%에 향후 10년간 경제가 4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나라는 바로 몽골이다.

투자의 귀재 마크 파버’는 "몽골은 아시아의 사우디아라비아가 될 것”이라 말했고, 거대 자원기업인 <리오틴토>의 톰 알바니스’ CEO는 "몽골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석탄은 매년 2배씩 늘어난다”고 지적했다. 또한 삼성경제연구소는 몽골 경제가 한국과 큰 보완관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수출을 많이 하지만 부동산과 경제성장이 침체된 한국과 달리 몽골은 부동산 경기 활황과 높은 경제성장률을 구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산업과 부동산 활황이지만 첨단기술 필요로 하는 몽고

몽골이 세계 1~2위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이는 이유는 GDP의 30%인 광산업(철광석, 구리 등)과 부동산이 활황이기 때문이다. 또 몽골은 1억톤의 석유가 매장된 20~30곳의 유전이 있고 한국의 7배에 달하는 넓은 국토에 미탐사 지역이 70%일 정도로 잠재력이 크다. 이처럼 자원은 풍부하지만 막상 몽골은 석유의 95%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정유시설을 지을 첨단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의 기술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몽골은 바람이 많이 불기 때문에 풍력발전에 유리하고 지정학적으로도 유럽과 아시아의 물류 허브가 될 수 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제안한 아시아 슈퍼 그리드” 프로젝트에서도 몽골이 핵심이다. 몽골의 태양열과 풍력 에너지를 러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 보내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 2013년 10월 31일 몽골에서 열린 한몽기술대학교 착공식에서 참석 내빈이 기념시삽을 하고 있다. 이날 착공식에는 코이카 최흥열 몽골사무소장, 몽골 노동부 싼즈미야타브(Sanjmyatav) 장관, 간툴가(Gantulga) 사무차관, 한몽기술대 울란바야르(Ulambayar) 총장 등이 참석했다. 제공=뉴시스

최근 들어 몽골은 수출의 85%나 되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고 일본, 한국 등으로 무역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한몽 수교 20주년을 기념해서 2012년 한국을 방문한 만난 몽골 국회의원 겸 몽골노동연맹 명예총재 간바타르 생후 의원은 "사우디가 한국의 도움으로 발전했듯 몽골도 한국과 손잡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현재 한국은 몽골의 6대 수출국이자 4대 수입국이다. 1990년 3월 26일 수교 이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 일했던 경험이 있는 노동자, 한국 유학 경험자, 한식 및 한류의 영향으로 몽골 내 한국의 영향력은 매우 높은 편이다.

한국경제와 보완관계, 경제협력 분야 많다

특히 한국의 사양산업이 몽골에 꼭 필요하다는 점에서 협력 여지가 많다. 밀밭은 많지만 제분기술이 없는 몽골에 관련 기업이 진출할 수 있고 몽골식 천막(게르)에 살던 서민들을 위한 중저가 아파트 건설 계획도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건설(건자재, 배관), 섬유, 광물가공, 농업식품(제분소, 유제품 등)등 분야도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넘어야 할 걸림돌도 있다. 한국-몽골간 비싼 항공료가 경제협력을 저해하고 있다고 보는 시각 등이다. 그래서 복수 취항이 성사돼 3시간 비행기 편도가격이 800~900달러 수준인 항공료가 대폭 떨어지면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몽골과 한국은 예부터 선린우호의 정신이 있었다. 한국이 몽골의 경제개발에 초석이 되는 사회 인프라 건설과 산업 단지 및 도시 개발 등에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몽골에게 한국의 전문 기술과 고급 인력을 수혈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한국은 몽골의 미래 사업이 될 광물 가공, 태양열, 풍력 사업 등에 전략적 동반자로서 함께 하는 계기를 확보함으로써, 치열해지는 동북아 패권 경쟁에서 자원과 에너지의 자립을 통한 중견국가로서의 역할을 스스로 견지해 나갈 수 있어야 하겠다. E21

본 기사는 월간지 <이코노미21> 4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