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7:19 (목)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 전년 대비 74% 증가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 전년 대비 74% 증가
  • 임호균 기자
  • 승인 2018.09.11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해자 연령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출빙자와 정부기관 사칭 등의 접근방식을 적용하는 등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사기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피해액이 1년 전보다 70% 넘게 급증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802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보다 73.7%(764억원) 증가했다.

피해자는 216명으로 같은 기간 56.4%(7573) 늘었는데 이는 매일 116명이 10억원(1인 평균 860만원) 전화금융사기를 당하는 셈이다.

대포통장(보이스피싱에 이용되어 지급정지된 계좌)26851건으로 27.8%(5839)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대출빙자형이 1274억원(70.7%)으로 가장 많았고 정부기관 사칭형이 528억원(29.3%)이었다.

대출빙자형은 고금리 대출자에게 전화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접근하는 방식으로 피해자가 관심을 보이면 기존 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서 저금리대출이 가능해진다며 자신들의 계좌로 입금하게 한다.

대출빙자형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494억원(3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351억원(27.9%)이었다.

정부기관 사칭형은 자신이 검찰 수사관인데 피해자 명의가 사기 사건에 도용됐다고 속이며 접근하며 이 과정에서 이메일로 가짜 사건 공문과 가짜 신분증 사본을 보내 악성 앱을 깔게 한다.

이어 금감원 1332로 전화해 피해 금액을 확인하라고 하는데, 이를 따르면 악성 앱을 통해 금감원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에게 연결되며 이렇게 해서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사기 사건과 관련 있는지 계좌 조사가 필요하다며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자 중엔 2030대 여성 비중이 3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고령층도 31.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금리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정보를 가지고 저금리로 바꿔주겠다며 접근하는 데 속는 경우가 많다""보이스피싱 사기단의 수법이 갈수록 진화해 피해자도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보이스피싱에 당하지 않으려면 누구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검찰, 경찰, 금감원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거나 금융회사를 사칭해 대출을 해준다면서 돈을 보내라는 전화를 받으면 일단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하며 상대방 소속기관, 직위 및 이름을 확인한 후 일단 전화를 끊는 것이 최선이다.

이후 해당 기관 공식 대표번호로 직접 전화해 사실관계와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사기범에 속아 피해를 봤다면 바로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회사 등에 신고해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하며 보이스피싱 관련 문의나 상담사항이 있으면 금감원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1332)에 문의하면 된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 10월 한 달 동안 금융권과 보이스피싱 제로(Zero) 캠페인을 하며 500만원 이상을 인출·송금하거나 대출을 받으면 '사기예방 진단표'를 활용해 보이스피싱 여부를 확인하도록 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 앱을 통해 사기범 음성 탐지 후 즉시통화를 차단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