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19 16:16 (화)
한국 관광산업 대위기
한국 관광산업 대위기
  • 신성은 선임기자
  • 승인 2018.07.02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조적 변화 없으면 이대로 주변국으로 전락할수도

한국관광산업이 대위기다.

이대로 가면 주변국으로 전락하고 만다는 한숨이 업계를 지배하고 있다.

한국의 관광산업은 2010년 이후 급성장했다.

중국의 경제성장과 중국 관광객의 급증이 가장 큰 이유다.

한류 붐이 한몫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의 관광객은 생애 첫 관광지로 한국을 찾았다.

2차례 위기가 있었다.

2015년 메르스사태와 2017년 사드(THAAD)위기다.

2015년 메르스로 중국 관광객은 거의 반년이상 한국을 찾지 않았다. 그러나 덕분에 2016년 한국은 역대 최대 관광객, 최고 성장률 기록을 갈아치웠다.

그렇다면 2018년, 정치적으로 사드위기가 어느 정도 해소된 올해는 다시 한 번 큰 도약을 하는 것이 맞다.

그렇지만 2018년 초 한국의 관광산업 현황은 지난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 2월 중순 구정, 아시아 지역 최고 명절임에도 중국의 관광객은 한국을 찾지 않았다. 중국관광객의 해외여행순위에서 한국은 일본, 태국 등 아시아 전통 관광국은 물론 신흥 베트남에도 밀려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멀찌감치 밀쳐버렸던 일본엔 이미 한참 뒤쳐져 절반 이하로 밀려버렸다. 미국의 프라이스라인(Price line)에 이어 세계2위로 부상한 중국의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에 따르면 일본은 이미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고 재방문율이 높은 관광지로 바뀌었다. 반면 한국은 재방문의사가 별로 없다.

경제후진진국에서 놀라운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던 한국은 지난 1978년 최초로 100만 명의 외래 관광객을 유치했다. 이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외래 관광객 200만 명을 돌파했고 3년 만인 1991년 300만 명을 넘어섰다.

이어 한국은 2000년부터 한류 열풍에 힘입어 500만 명을 돌파했고 2002월드컵을 거치면서 2007년 9월, 누적 방한 외래 관광객이 1억 명을 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중국의 개방정책 이후 중국의 눈부신 경제성장과 관광 붐은 2012년, 한국은 1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일본의 630만 명에 비해 압도적 외래 관광객을 기록하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유엔세계관광기구(UNTWO)의 조사에 따르면 2011년 방한 외래 관광객 수는 약 980만 명으로 세계 25위다. 특히 외래 관광객 증가율은 2009~2011년 3년간 12.5%로 프랑스(1%), 미국(2.9%), 중국(2.9%)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아 OECD 주요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962년 1만5천 명에 불과했던 것에 비추어보면 50년간 무려 653배나 되는 성장을 기록한 셈이다.

2010년대 한국의 관광객 수, 관광수입등을 고려하면 세계20위안에 관광대국으로 성장한 셈이다. 물론 한국 역시 경제발전을 거듭한 결과 이미 20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을 내보내는 국가로 성장, 약 12위권을 형성하며 세계적인 관광고객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이러한 양적인 성과에도 불구, 항상 질적인 발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특히 이웃 중국의 관광객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크고 그 주조가 많이 왜곡되어 있어 사상누각이라는 지적이 많다.

이미 관광수지 적자는 커질대로 커져 관광지출이 관광수입의 2배에 이르고 있다. 세계 12권으로 올라선 관광 지출을 줄이는 것이 쉽지 않다. 결국 관광산업을 부흥시켜야한다.

그런데 올해 한국 관광산업의 위기가 심각하며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면 다시 관광 주변국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왜 그런가?

우선 중국의 관광객 추이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중국은 한국 관광산업의 대들보 역할을 했다. 지난 2011년 11.3%의 증감률로 그 위세를 과시하며 약 220만 명이 한국을 찾아 핵심 고객 일본의 약 3백30만 명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2012년 27.8%, 2013년엔 무려 52.5%나 증가, 4백30만 명으로 무려 21%나 줄어든 일본을 제치고 압도적 1위 방한국으로 올라섰다.

2014년에도 42%나 증가했으며 2015년 메르스로 약 2% 줄며 주춤했으나 2016년엔 무려 8백만 명을 넘어 다시 35% 증가했다.

그러나 급기야 2107년 사드위기로 무려 48%나 줄어들어 약 4백10만 명으로 급감했다.

사드위기는 그렇다하더라도 지난해 12월, 사드가 잦아들었음에도 33만 명에 그쳐 여전히 2016년 대비 약 40% 줄었다.

2014년 이후 중국관광객은 한국을 찾는 외래 관광객의 40% 정도가 된다. 일본 관광객이 많이 줄고 있음에도 약 15% 정도를 차지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과 일본이 약 50%를 구성, 한국 관광산업의 중추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아직 사드위기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으며 북핵 위기가 여전히 상존한다. 그러나 2018년엔 평창 동계올림픽이 있고 중국의 춘절 관광객이 기대되는 시점이었다.

물론 아직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분위기는 쉽게 감지된다.

우선 중국 관광객의 50%이상이 찾는다는 명동과 쇼핑의 랜드마크 소공동 롯데면세점이 한산했다. 이미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한국의 현주소가 그대로 드러났다.

반면 일본은 밀려든 중국관광객과 한국관광객으로 홍역을 앓았다.

최근 일본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방일 외국인 관광객이 2800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2017년 방한외래관광객이 약 1334만 명이다. 이미 2배가 넘은 관광객 격차를 보이고 있다.

2014년에 한국(1420만 명)이 일본(1342만 명)에 앞섰지만 순식간에 2배차이로 벌어졌다.

특히 한국관광객이 700만 명에 육박, 무려 40% 이상 늘었다. 중국(14%)과 대만(9%)에 비해 폭발적인 증가율이다. 4명중 한명이 한국인인 셈이다.

한국관광의 갑작스런 성장은 한류의 엄청난 붐과 가격경쟁력이 기저에 있었다. 그래서 기형적이었다. 일본처럼 탄탄한 인프라와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한국을 대표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사진은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명동거리. 사진=위키백과
한국관광의 갑작스런 성장은 한류의 엄청난 붐과 가격경쟁력이 기저에 있었다. 그래서 기형적이었다. 일본처럼 탄탄한 인프라와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한국을 대표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사진은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명동거리. 사진=위키백과

‘관광대국’으로 성장한 일본의 성공 비결은 탄탄한 인프라와 차별화된 콘텐츠로 평가된다.

외국인 중 90%가 “다시 오고 싶다”고 재방문 의사를 피력, 미래도 밝은 편이다.

반면 한국을 찾는 외국인중 78%가 “서울 외에 갈 데가 마땅찮고 음식 문화도 특색이 없다”고 답변했다. 재방문의사가 별로 없다.

그렇다면 지금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인가?

사드위기가 아직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다면 구조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곰곰이 따져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중국인들의 한국관광은 대개 약 3박4일이다.

이들 중 약 70%이상이 서울로 입국한다. 서울에서 명동과 고궁, 롯데월드나 민속촌, 에버랜드 등을 찾으면 2일 정도가 소요된다. 그리고 제주도를 갖다오면 또 1박2일이 필요하다. 제주도는 별도로 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데 한국 단체 관광은 소위 저가 관광이다. 게다가 한국을 찾는 관광객의 대부분이 한국에선 쇼핑을 하길 원한다. 거의 하루는 쇼핑으로 메워진다.

롯데나 신라 등 메이저 2개 시내면세점을 선호하며 인삼, 화장품 등의 사후면세점을 찾는다.

그러면 하루가 간다.

바로 이 쇼핑을 통해 국내 인바운드 여행사들은 수수료 수익으로 소위 인두세를 상쇄하고 이익을 올려야한다.

소위 저가관광의 구조가 매우 절박하다.

과연 이 관광상품에서 재방문 의사가 얼마나 될까?

최근 세계 2위 관광사로 부상한 씨트립의 관계자가 “한국은 저렴한 비용으로 찾는 첫 해외여행의 의미가 강하다”며 “일본 선호도가 훨씬 높다”고 밝혔다.

그만큼 한국 관광상품의 경쟁력은 떨어진다.

한국관광의 가장 큰 강점은 역시 가격경쟁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단체관광이 여전히 해외여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관광대국화의 큰 요인이 소위 인바운드 여행사들이 중국 아웃바운드 여행사들에게 쥐어준 인두세라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최근 중국 여행사들과의 인두세 협의가 잘 진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유는 중국 여행사들은 더 많이 원하고 한국의 인바운드 여행사들은 지난해 사드위기를 거치면서 소규모 여행사들이 많이 사라져 이전같은 이전투구 경쟁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세계적인 관행이기는 하지만 한중간에 심각한 문제였다면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한국관광의 가격경쟁력을 적절히 유지하는 방안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한국관광의 갑작스런 성장은 한류의 엄청난 붐과 가격경쟁력이 기저에 있었다.

그래서 기형적이었다. 일본처럼 탄탄한 인프라와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한국의 문화유적은 상대적으로 화려하지 않다. 세계적인 역사 관광자원을 가진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중국 등에 비견될 수 없다. 침략을 받지 않은 일본처럼 잘 보존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다양하고 전통 있는 다양한 축제도 거의 없다.

콘텐츠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렇다고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다양한 국제회의나 전시회의 허브가 되기도 어렵다.

그래서 한국을 대표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는데 이의를 다는 사람은 없다.

단체관광의 주류는 4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중장년층이다.

그런데 최근엔 급격히 20대 관광객이 늘고 있다.

지난해 통계를 보면 20대 관광객이 전체의 2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30대가 22.7%로 두 번째다.

중국관광객의 경우는 더욱 두드러진다. 물론 지난해 사드로 단체관광객이 줄면서 소위 자유관광객 위주로 바뀌면서 젊은층이 더욱 강화되었다. 20대가 35.4%, 30대가 26.2%나 된다.

따라서 이미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한류를 관광콘텐츠로 더욱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젊음의 거리 홍대입구와 대학로, 강남을 더욱 홍보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들의 소비력은 중장년층에 비해 떨어진다. 그러나 이들이 곧 중장년층이 되고 한국을 다시 찾을 공산이 높다.

그리고 쇼핑도 다시 한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쇼핑도 관광상품이다.

특히 쇼핑은 관광수지를 좌우한다.

한국의 면세점은 세계적이다. 특히 중국관광객들은 중국 상품과 면세점에 대한 불신이 강하다. 덕분에 한국의 면세점은 중국의 손 큰 유커들의 구매에 힘입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했다. 가격경쟁력도 있다.

그런데 최근 추세는 우려스럽다.

지난 1월 한국의 대형면세점들은 모두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했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월별 매출액 6000억원 후반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매출이익이다. 1%에도 못 미친다고 한다.

면세점들도 죽을 노릇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중국 관광객은 오지 않고 면세점에 대한 수요가 있으니 소위 따이공들이 구매를 대행한다. 그런데 수수료율이 너무 높다. 면세점들이 서로 경쟁하다보니 따이공 좋은 일만 시킨다는 지적이 높다. 이것 역시 왜곡된 구조 탓이다.

사후면세점은 그동안 저가관광과 관련, 많은 문제가 지적되었다. 그러나 역시 육성해야 될 분야임에 틀림이 없다.

면세점(Duty Free)의 경우 매출의 대부분이 외국수입품이다. 소위 명품이 주다. 그런데 유럽이나 일본은 사후면세점(Tax Free)이 매우 발전되어있다. 일본의 드럭스토어(Drug Store)에서 다양한 약품을 사기 위해 줄서 있는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은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대한민국 관광객 쇼핑은 엄청난 성장을 거듭했다.

그런데 이제 변화가 필요하다.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뿐만이 아니다. 제도적 개선도 시급하다. 관(官) 우선 관광산업 분야에서 관의 역할이 너무 부정적이었다. 별로 도움이 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부정적 효과가 더 컸다는 지적이 많다.

많은 학자들과 업계는 문제점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

한국의 관광산업 자원은 절대 유리하지 않다.

그러나 한국의 옆에는 세계적인 관광고객 중국과 일본이 있다. 어느 나라든지 지리적 이웃이 가장 큰 손님이다.

그런데 현재는 한국이 가장 꼴찌다.

그렇다면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고 정말 현실적인 대책을 강구할 때다.

한국의 관광산업은 지나치게 관주도다. 관광산업의 핵을 구성하는 대기업들은 거의 경쟁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민관이 협력해서 대책을 만들기가 어렵다.

최근 면세점 제도개선과 관련, 김동연 기재부장관 산하에 특별위원회가 만들어지고 총리실 산하에 위원회가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뭐 하는지 소식이 별로 없다.

진정한 민관거버넌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나락으로 떨어지면 올라오기 힘들다.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 그것도 레짐체인지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