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6 22:06 (월)
포퓰리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
포퓰리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
  • 김창섭 뉴미디어본부장
  • 승인 2018.07.26 17: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 중남미, 한국 등의 포퓰리즘을 종합적으로 분석

<포퓰리즘과 민주주의>는 우리나라의 학계와 언론, 정치권에서 ‘포퓰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의미가 편향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이 책에서는 포퓰리즘을 ‘대중영합주의’로만 이해해 온 시각에서 벗어나 포퓰리즘이라는 대상 자체가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제시한다.

<포퓰리즘과 민주주의>는 각 분야 전공자가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학제적이고 융합적인 시각에서 고찰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포퓰리즘 현상을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사이의 내재적 갈등관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포퓰리즘과 민주주의>는 전체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에서는 「포퓰리즘, 민주주의, 민중」이라는 제목 아래 서양철학 전공자인 진태원이 포퓰리즘에 관한 외국 학계의 논의를 소개하면서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포퓰리즘을 더 많은 민주주의를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논점이다.

2부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포퓰리즘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김은중은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을 다시 생각한다」는 글에서 ‘포퓰리즘의 대륙’이라고 할 만큼 다양한 형태의 포퓰리즘이 출현한 바 있는 라틴아메리카 현대사를 배경으로 민중에 기반을 둔 포퓰리즘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박구병은 「살리나스의 네오포퓰리즘과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 논쟁 재고」에서 멕시코의 사례를 통해 신자유주의적 포퓰리즘의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3부에서는 3명의 유럽사 전공자가 유럽의 포퓰리즘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프랑스사 전공자인 김용우는 「프랑스 민족전선과 포퓰리즘 그리고 파시즘」에서 민족전선은 포퓰리즘보다는 파시즘의 성격을 띤 극우 정치집단임을 밝히고 있다. 이탈리아사 전공자인 장문석은 「‘정상국가’를 향하여: 이탈리아 포퓰리즘의 실험」에서 무솔리니에서 베를루스코니에 이르는 이탈리아 포퓰리즘의 배경에는 ‘정상국가’에 대한 뿌리 깊은 열망이 담겨 있음을 보여준다. 동유럽사 전공자인 오승은은 「동유럽 포퓰리즘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해체 이후 동유럽에서 나타나는 포퓰리즘 정치를 ‘직접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와 ‘권위주의적 선동정치’의 흐름 사이에서 고찰하고 있다.

마지막 4부는 한국정치와 포퓰리즘의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사회학자인 서영표는 「포퓰리즘의 두 가지 해석」에서 그동안 포퓰리즘을 ‘대중영합주의’로만 이해해온 경향에 맞서 자유민주주의보다 더 급진적인 민중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으로서 포퓰리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학자인 이광일은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포퓰리즘」에서 김대중, 노무현 정권에 이르는 ‘민주화 정권’이 처음의 민주주의적인 지향에서 벗어나 신자유주의적인 노선으로 일탈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진태원,김은중,박구병,김용우,장문석,오승은,서영표,이광일 공저, 소명출판 발간, 22,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