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6:34 (금)
한중일러 연결하는 동북아 전력망사업에 7조∼8조원 필요
한중일러 연결하는 동북아 전력망사업에 7조∼8조원 필요
  • 신성은 선임기자
  • 승인 2018.12.11 13: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전력망을 중국, 러시아, 일본과 연결하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에 최소 7조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일본에는 전력을 수출하는 대규모 사업이라 성사 시 전기요금 인하와 온실가스 감축, 전력수급 안정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11일 한국전력이 자유한국당 정유섭 의원에게 제출한 '동북아 계통연계(전력망 연결) 추진을 위한 최적 방안 도출 및 전략수립' 보고서는 동북아 계통연계사업에 필요한 총투자비를 72천억86천억원으로 추산했다.

중국 웨이하이와 인천 간 370km 구간을 해저 케이블로 연결하는데 29천억원이 소요되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한을 거쳐 경기 북부까지 1km 구간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투자비가 24천억원이다.

일본은 기타큐슈나 마츠에를 해저 케이블로 경남 고성과 연결하는 방안이 있으며 기타큐슈는 220km 구간에 19천억원, 마츠에는 460km 구간에 33천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 보고서는 한전이 맥킨지컨설팅에 의뢰해 작성된 것으로 맥킨지는 보고서에서 사업 추진 배경으로 국내 전력수급 안정화를 꼽았다.

'전력 섬'인 우리나라의 전력망을 다른 국가와 연결하면 국내 전력생산이 부족할 경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특히 태양광과 풍력 등 날씨 영향을 받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질수록 전력망 연계가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고서는 "탈석탄, 탈원전, 재생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전력수급 및 계통 불안정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 수단 확보"도 추진 사유로 포함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부가 탈원전 때문에 전력을 수입한다'는 주장을 내고 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보도해명자료에서 "탈원전, 탈석탄 등 에너지전환 정책 때문에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추진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계통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탈피하기 위해 과거 정부에서부터 추진해왔던 사업"이라고 밝혔다.

실제 이명박 정부에서도 러시아와 공동연구를 추진했고 박근혜 정부도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로 러시아와 전력망 연계를 추진했다.

보고서는 중국과 러시아에서 전력을 수입하는 게 국내 생산보다 저렴할 수 있다는 점도 사업 추진 이유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중국으로부터 전력을 수입할 경우 한전이 연간 13천억원의 전력량 정산금을 절감하고, 이를 소비자에 환원할 경우 최대 1kWh(킬로와트시)당 약 3원의 전기요금 인하가 가능하다고 봤다.

환경적으로는 중국과 러시아에서 전력을 수입하면 온실가스 1100t, 미세먼지 2t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일본으로 전력을 수출하면 온실가스 400t, 미세먼지 7t이 증가할 수 있다.

보고서는 전력망 연계가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조율하고 큰 투자가 필요한 대규모 사업이라고 지적했으며 동북아 긴장 완화와 경제성을 위해 초기 단계부터 북한의 참여가 필요하나 북핵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논의는 활발하나 현실적으로 많은 난관이 존재한다"면서도 "느리더라도 결국은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2011년 일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제창한 이후 논의가 이어져 왔으며 문재인 대통령도 작년 9월 러시아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현재 비슷한 개념의 프로젝트가 북유럽, 남유럽, 아프리카 등에서도 진행 중이다.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 개요(한국전력 보고서,정유섭의원실 제공)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 개요(한국전력 보고서,정유섭의원실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