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21 조준상 선임기자] 구글이 유권자를 ‘정밀 겨냥’하는 정치광고를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구글은 광고․생산물관리 담당 부회장 스콧 스펜서 명의로 11워20일 발표한 ‘광고정책 갱신’에서 정치적 속성에 기초한 특정 광고로 유권자를 정밀하게 겨냥하는 정치광고를 더 이상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정책은 유권자의 전자우편이나 휴대폰 번호 명단과 온라인 프로필을 대조해 정치광고를 정밀 겨냥하는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구글의 플랫폼 ‘커스터머 매치’를 이용한 정치광고를 금지한다. 구글은 오는 12월12일 치러지는 영국 총선에서 일주일 이내에 정치광고 제한 조치를 취하고, 유럽연합에는 올해 안에, 전 세계에는 1월6일까지 새로운 광고 정책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밀 겨냥 정치광고 이외에, 검색과 유튜브 등 구글의 플랫폼 전반에서 나이, 성, 우편번호 등의 지역을 기초로 유권자를 겨냥하는 정치광고는 여전히 가능하다. 특정 주제를 읽는 유권자를 겨냥하는 문맥 광고도 허용된다.
또한 구글은 거짓 내용의 정치광고에 대한 금지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구글은 “누구도 모든 정치적 주장, 반주장, 암시에 대해 분별 있게 판정을 내릴 수는 없다”면서도 ““심각한 허위”(조작된 미디어), 선거나 민주적 과정에 대한 참여나 신뢰를 훼손할 수 있는 ‘증명할 수 있는’ 그릇된 주장을 하는 광고를 금지하는 정책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구글의 이런 정책은 회장 마크 저커버그가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거짓말을 볼 수 없도록” 예방하는 것은 페이스북의 역할이 아니라는 궤변을 펼치며 거짓 정치광고를 금지하지 않기로 한 페이스북과는 다른 모습이다.
한편 지난 10월30일 자신의 플랫폼에서 11월부터 모든 형태의 정치광고를 금지하겠다고 결정한 트위터는 모든 후보나 선출직 공무원, 정당의 정치 광고는 금지하지만, 일부 비영리단체와 기업의 사회적 쟁점에 대한 메시지에 대한 광고를 허용하는 쪽으로 일부 수정된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트위터의 정치광 정책의 배경에는 “정치적 메시지는 사는 게 아니라 얻는 것이어야 한다”는 트위터 최고경영자인 잭 도시의 철학이 깔려 있다. [이코노미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