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14 (목)
한·EU FTA 10년, 경쟁국보다 EU시장 선점효과 누려
한·EU FTA 10년, 경쟁국보다 EU시장 선점효과 누려
  • 신성은 선임기자
  • 승인 2021.06.30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배터리·화학제품 등 수혜
자동차 2010년보다 2배 이상 증가
소재·부품·장비의 수입처 다변화에도 기여
“완전히 관세 철폐된 한·EU FTA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이코노미21 신성은 선임기자] 2011년 7월 1일 우리나라가 아시아 국가들 중 최초로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발효한 이후 10년 간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EU시장 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한·EU FTA 10주년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FTA 발효 후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 화학제품, 일부 농수산식품 등 품목에서 수혜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경우 EU의 수입관세가 철폐되면서 2019년 수출액 84억달러를 기록해 2010년 33억달러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내연기관 차량은 현지생산이 늘면서 2017년 이후 수출이 감소하고 있으나 전기차 수출이 2017년 2억달러에서 2020년 46억달러로 급증해 자동차 전체 수출을 견인하고 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리튬이온배터리도 FTA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돼 다른 경쟁국들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화학제품의 수출도 FTA 발효 전 2010년 12억달러에서 2020년 71억 달러로 연평균 19.2%씩 증가했고 특히 배터리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농수산물의 경우 여전히 EU로부터의 수입이 훨씬 크지만 2020년에는 FTA 발효 전 대비 125% 증가한 4억5천만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주로 한국산 참치, 버섯, 김치 및 조미 김, 음료 등이 FTA 관세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EU FTA는 소재·부품·장비의 수입처 다변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한국의 일본 소재 수입비중은 32.6%, EU 소재 수입비중은 10.1%였으나 2020년에는 일본 수입비중이 20.8%까지 하락한 반면 EU 수입비중은 13.6%까지 상승했다.

보고서는 “한·EU FTA 발효 이후 EU의 프리미엄 소비재가 우리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기술, 품질, 디자인 등 비가격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EU로부터 자동차 수입이 늘어나면서 국산 신차 모델 수가 늘어났고 최근에는 2000cc 이상 대형차의 국산차 점유율도 FTA 발효 이전보다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가전도 중국이 중·저가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유럽 브랜드와 경쟁을 통해 프리미엄 전환을 적시에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홍정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EU가 환경·인권 기준을 높이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는데 이 또한 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이 EU와 FTA를 체결하면서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발효 10년차에 이르러 관세가 완전히 철폐된 한·EU FTA를 더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21]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한·EU FTA 10주년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FTA 발효 후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 화학제품, 일부 농수산식품 등 품목에서 수혜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이코노미21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한·EU FTA 10주년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FTA 발효 후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 화학제품, 일부 농수산식품 등 품목에서 수혜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