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3:45 (토)
수소, 2050년 최대 에너지원 된다…수소경제 청사진 제시
수소, 2050년 최대 에너지원 된다…수소경제 청사진 제시
  • 김창섭 뉴미디어본부장
  • 승인 2021.11.26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수립
2050년까지 청정수소 연간 2790만톤 공급
2050년까지 수소충전소 2000기 이상 확보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 도입
“1319조원의 경제효과와 56만7천명 일자리 창출”
“약 2억톤 이상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기대”

[이코노미21 김창섭 본부장] 정부가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했다. 2050년까지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충전소를 2050년까지 2000기 이상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26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청정수소경제 확산과 가속화 방안을 논의했다.

김부겸 총리는 “수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2050년 단일 에너지원으로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수소선도국가 비전’ 실현을 위해청정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은 올해 2월 수소법 시행 이후 첫 법정 기본계획으로 ‘수소선도국가 비전’에서 제시한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15개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2050년까지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한다.

정부는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생산단가를 감축해 2030년에는 그린수소 생산을 25만톤으로 확대하고 단가는 kg당 3500원으로 낮출 예정이다. 2050년에는 300만톤으로 확대하고 단가를 kg당 2500원까지 낮춘다.

또한 동해가스전 실증 등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일정에 맞춰 탄소저장소를 2030년까지 9억톤 이상 확보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청정‧블루수소를 2030년 75만톤, 2050년 200만톤을 생산할 예정이다.

국내 자본과 기술을 활용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까지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안정적인 수소 수급을 위해 비축기지 건설 및 국제거래소를 설립하고 수소 생산국들과 협의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청정수소 인증제 및 원산지 검증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석탄·LNG발전소, 산단 인근에 수소항만을 구축하고 항만시설 사용료‧임대료 감면 등 인센티브 부여해 항만 내 선박·차량·장비 등을 수소 기반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주유소·LPG 충전소에 수소충전기를 설치하는 융복합 충전소 확대 등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2050년까지 2000기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발전·모빌리티 산업 등 모든 일상에서 수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를 위해 수소연료전지에 더해 석탄에 암모니아 혼소발전, LNG 수소 혼소 등 수소발전을 상용화한다. 제도적으로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도입, 환경급전 강화 등으로 이를 지원한다.

또한 정부는 2050년까지 수소차 526만대로 생산능력을 대폭 확충하고 2030년까지 수소차를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어 정부는 이를 선박‧드론‧트램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수소 적용을 확대한다.

아울러 정부는 산업 부문도 신규·노후 산업단지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연료‧원료를 수소로 대체할 계획이다.

수소산업 육성 저변 강화를 위한 제도 기반도 마련된다.

정부는 수소 관련 기술개발의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해 각 부처별로 개발 기술 규모를 상향해 범부처 통합실증을 실시한다.

아울러 선제적 안전기준 수립, 국제표준 선점 지원 등을 통해 수소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수소 연합회‘를 출범시켜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기업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수소가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의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라며 “1319조원의 경제효과와 56만7천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는 약 2억톤 이상의 저감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통해 수소는 2020년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49.3%)를 제치고 2050년에는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국민들이 편리하게 수소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국 권역별로 인프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원칙적으로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며 2030년에는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 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수소충전소 이용이 가능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소경제 확산에 따른 해외수소 도입 확대에 대비해 전국 주요 항만을 수소 생산‧물류‧소비에 적합하도록 선제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40년까지 수소 생산‧물류‧소비 생태계를 갖춘 14개 수소항만 구축을 목표로 울산, 광양, 부산, 평택‧당진, 군산 등 주요 항만을 중심으로 민관협력 수소항만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정부는 수소항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수소항만 특별구역 지정,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추진체계를 마련한다.

정부는 파력(해수면파)·풍력 등 풍부한 해양자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실증을 통해 국내 수소생산을 확대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선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40년 국내 그린수소 공급량의 10%를 해양그린수소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파력·풍력 등으로 생산한 전력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개발 및 생산 실증을 추진한다.

또한 국내 어업과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해상풍력 발전 방안 등을 고려해 △연안(고정식) 수소생산 실증 △외해(부유식) 원천기술 개발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중소기업벤처부를 중심으론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수소 신기술 실증과 선제적인 규제개혁을 추진한다.

또한 친환경 모빌리티(울산), 액화수소 산업(강원), 암모니아(부산)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 지원을 통해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이코노미21]

수소경제 이정표. 출처=기획재정부
수소경제 이정표. 출처=기획재정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