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7:19 (목)
“전세정보 확인하세요”...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가율 83.7%
“전세정보 확인하세요”...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가율 83.7%
  • 임호균 기자
  • 승인 2022.09.15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74.7%...수도권 69.4%
연립ㆍ다세대의 전세가율이 아파트보다 높아
전세계약 체결 전에 전세가율 참고할 필요 있어

[이코노미21 임호균] 최근 3개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74.7%로 수도권 69.4%, 비수도권 78.4%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립·다세대는 전국 83.1%, 수도권 83.7%, 비수도권 78.4%로 나타나 연립ㆍ다세대의 전세가율이 아파트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보증사고율은 수도권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전세보증금 미반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지역별 전세가율, 보증사고 현황 및 경매낙찰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 정보 제공은 앞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주거분야 민생안정 방안’(7월 20일)과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9월 1일)의 후속조치다.

이번에 제공하는 통계 정보는 총 세 가지다. 먼저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로 국토부는 해당 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의 매매ㆍ전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해 산정했다.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매매가 하락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우려가 크므로 전세계약 체결 전에 해당 지역의 전세가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기준 전세가율은 아파트의 경우 전국 74.7%, 수도권 69.4%, 비수도권 78.4%이며 연립·다세대는 전국 83.1%, 수도권 83.7%, 비수도권 78.4%로 나타났다.

서울의 최근 3개월 기준 아파트 전세가율은 금천구(76.6), 강서구(71.9), 은평구(70.2) 순이다. 연립·다세대는 강동구(88.7), 광진구(86.5), 강서구(86.4) 순이다.

또한 국토부는 전세계약 종료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 전세금을 대신 반환해주는 상품인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사고 통계도 제공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8월 한 달 동안 75개 지자체에서 총 511건(1089억원)의 보증사고가 발생했으며 전국 평균 보증사고율은 3.5%로 집계됐다. 보증사고율은 당월 만기가 도래하는 보증상품의 총액 중 미반환 보증금액의 비율을 말한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서구(60건, 9.4%), 인천 미추홀구(53건, 21.0%), 경기 부천시(51건, 10.5%) 등 수도권에서 보증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인은 보증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사고율이 높은 지역은 위험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매물의 권리관계, 주변 매매ㆍ전세시세, 임대인의 세금체납 여부 등을 면밀히 살피고 계약 이후에는 임대차 신고(확정일자 자동 부여), 전입신고를 통해 우선변제권을 확보하고 전세자금 보증상품에 가입하는 등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토부는 법원 경매정보를 활용해 지역별 주택의 경매 건수, 낙찰건수 및 낙찰가율도 제공한다. 경매낙찰 통계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임대인의 부도ㆍ파산 등으로 해당 주택이 경매에 부쳐지는 경우 임차인이 돌려받을 수 있는 보증금액을 유추해볼 수 있다.

전국 기준 최근 3개월(6월~8월) 평균 낙찰가율은 82.7%로 최근 1년(2021년9월~2022년 8월) 낙찰가율(86.2%) 대비 3.5%p 낮게 나타났다. 최근 3개월 수도권은 85.2%, 비수도권은 80.1%로 최근 1년대비 5.1%p, 22.2%p 각각 낮았다.

이번에 제공하는 통계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테크 누리집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9월말까지 부동산테크 누리집 내 별도 메뉴를 신설할 예정이다. 또 매월 중순에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역별 전세가율과 보증사고 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전세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9월 중 해당 지자체에 별도로 통보해 지자체가 신축빌라 등을 중심으로 시장 위험요인이 있는지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임차인이 위험매물과 계약하지 않도록 지자체, 공인중개사 및 은행 등을 통해 전세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와 홍보물을 배포하는 등 예방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전세사기로 의심되는 사례를 분석해 경찰청에 제공하고 필요시 직접 수사를 의뢰하는 등 전세보증금 미반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이코노미21]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출처=국토교통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