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R&D 1.5조 투입...선도기업 집중지원
1조원 규모 ‘중견기업 도약 지원 펀드’ 조성
상반기 중 1000억원 규모의 1호 펀드 출시
‘고성장 혁신기업’ 1000개사 선정...통합지원
[이코노미21 이상훈] 정부는 2030년까지 기업 수 1만개, 수출 20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새정부 중견기업 중장기 육성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15대 핵심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 ∆공급망 안정 ∆디지털전환에 향후 10년간 R&D 약 1.5조원을 투입하고 2027년까지 1조원 규모의 ‘중견기업 도약 지원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16일 ‘중견기업 산업 현장 간담회’를 열고 새 정부의 중견기업 성장 정책 비전을 담은 ‘중견기업 성장촉진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의 주요 방향은 중견기업이 월드 베스트 기업으로 성장해 더욱 튼튼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중견기업의 4대 전략적 역할 강화 △기업의 자발적 혁신과 도전을 유도하는 전 주기적 지원체계 구축 △성장 촉진형 제도 기반 조성 등이 주요 골자다.
첫 번째 핵심 정책 방향은 중견기업이 산업생태계 내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 △공급망 안정화 △디지털전환 대응 △중소→중견기업 성장 사다리 구축이라는 4가지 임무를 수행하는 데 중추가 되는 선도 기업군 육성이다. 이를 위해 반도체, 이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중견기업 15대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 △공급망 안정 △디지털 전환에 2033년까지 1.5조원 규모의 기술개발 자금을 투입해 각 분야별로 100~150개 선도 기업군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15대 핵심 산업 내 유망 중소기업을 선발해 중소→중견기업으로의 진입(성장사다리) 속도를 높이는 지원트랙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산업부와 중기부가 매년 100개씩 ‘고성장 혁신기업’ 1000개사를 선정하고 R&D, 수출, 인력 등 중기부와 산업부 사업들을 통합 패키지 형태로 지원할 방침이다.
두 번째 정책 방향은 중견기업이 신사업·신기술을 바탕으로 성장 정체를 극복하고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신사업 발굴→기술 확보→투자·재원 확보’ 등 전 구간에 걸쳐 기업의 자발적 혁신과 도전을 유도하는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중견기업의 신사업 발굴 단계에서 스타트업, 연구소, 대학 등 다양한 혁신 주체와 만나 신사업·신기술 아이템을 찾을 수 있도록 중견기업 얼라이언스, 산학연 및 해외 네트워크 구축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 확보 단계에서는 중견기업 R&D를 ‘신청→평가→선정’ 전주기에 걸쳐 투자 촉진형으로 전환해 △R&D 신청시 사모펀드(PEF),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등 민간 금융과의 사전 투자유치 설명회(IR) 기회 부여 △평가 단계에서 금융 전문가의 참여 강화 △사전에 투자를 받은 기업은 R&D 선정시 우대할 계획이다.
신사업 진출을 위한 투자 재원 확보 단계에서는 중견기업이 사모펀드(PEF),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등 민간 성장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2027년까지 총 1조원 규모의 ‘중견기업 도약 지원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산업기술혁신 펀드 출자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1호 펀드가 출시될 예정이다.
세 번째 정책 방향은 △법 △성장 걸림돌 규제 △인력 등의 지원제도를 정비해 중견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정부는 현재 대·중견·중소기업의 근거를 규정한 기본법 중 유일하게 한시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중견기업 특별법’을 상시법으로 전환해 법적 안정성을 완비하고 새로운 지원 특례를 발굴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서 각종 지원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기업 의견을 수렴해 관련 부처와 개선방안을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
지방 중견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그동안 수도권 위주로 개최되던 일자리 박람회를 올해부터는 권역별(수도권+충청·호남·영남 등)로 확대 개최하고 지방 중견기업 채용과 연계해 대학의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지원 프로그램도 신설할 예정이다. [이코노미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