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6:14 (화)
올해 가장 중요한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
올해 가장 중요한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
  • 김창섭 기자
  • 승인 2023.02.07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급망 실사법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수준 낮아
‘공시 의무화에 별다른 대응계획 없다’ 36.7%
‘경제 어려워도 ESG 경영 더 중요해질 것’ 61.6%

[이코노미21 김창섭] 올해 가장 큰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기업 공급망내에 환경문제, 인권침해 여부 등 ESG를 안착시키지 못한 기업은 수출 길이 막힐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 ESG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올해 가장 큰 ESG현안을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가 ‘공급망 ESG 실사 대응’이라고 응답했다. 그밖에 ESG 의무공시(30.3%), 순환경제 구축(15.7%), 탄소국경조정제도(12.0%) 등이었다.

2023년 ESG 현안. 출처=대한상의
2023년 ESG 현안. 출처=대한상의

이재혁 고려대 교수는 “공급망 ESG 실사법이 올해 독일에서부터 시행되고 내년부터 EU 전체로 확대되면서 국내외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협력업체에 ESG 실사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실사 결과 고객사와의 거래나 계약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ESG 실사 대응에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공급망 실사법에 대한 대응수준은 낮았다. ‘단기적인 대응수준’을 묻는 질문에 원청기업은 48.2%, 협력업체는 47.0%가 ‘별다른 대응 조치 없다’고 응답했다. 장기적인 대응계획으로는 ESG경영 진단/평가/컨설팅(22.0%), ESG 임직원 교육(22.0%), ESG경영 위한 체계 구축(20.7%), 국내외 ESG 관련 인증취득(4.3%), ESG 외부 전문가 영입(3.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도 계획이 없다’는 응답(복수응답)도 37.3%에 달했다.

‘ESG 의무공시’와 관련해서도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작되는 공시 의무화에 별다른 대응계획이 없다는 기업이 36.7%에 이르렀다.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인 ISSB 기준의 국내 도입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71.7%는 ‘국내 실정에 맞춰 일부 수정 및 점진적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면적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5.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올해 ESG 각 분야별 현안을 살펴보면 먼저 환경(E) 분야는 ‘친환경기술개발’(34.0%)이 첫 손에 꼽혔다. 이어 사회(S) 분야 현안으로는 ‘산업안전보건’(52.3%)을 선택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지배구조(G) 분야 현안으로는 ‘이사회 및 감사기구 역할 강화’(30.3%)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업 61.6%는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ESG 경영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 보고 있었다. 덜 중요해질 것이란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36.0%에 달했다.

ESG경영 추진 관련 기업애로를 묻는 질문(복수응답)에는 기업의 58.3%가 ‘비용부담’을, 53.0%가 ‘내부 전문인력 부족’을 선택했다. ‘경영진 관심 부족’(16.3%), ‘현업부서의 관심 및 협조 부족’(11.0%), ‘실천 인센티브 부족’(9.0%) 등이 뒤를 이었다.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39.3%)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이어 ‘ESG 진단/실사/컨설팅 지원’(28.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0%), ‘ESG 전문인력 양성’(20.7%), ‘ESG 금융지원’(20.7%), ‘ESG 인증 서비스 제공’(5.7%), ‘기타’(0.3%) 순이었다. [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