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14 (목)
가계부채 증가하면 장단기 경기침체 가능성 높아져
가계부채 증가하면 장단기 경기침체 가능성 높아져
  • 이상훈 기자
  • 승인 2023.04.28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70~80%일 경우
6년 뒤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 높아져
80% 넘으면 단기간에도 성장률 하락 나타나

[이코노미21 이상훈]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서면 경기침체 발생 확률이 높아져 가계부채를 줄여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8일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주요국에 비해 과도한 가계부채 수준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부상하면서 앞으로 금융·경제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소득이나 경제 여건에 비해 과도한 수준으로 누적된 가계부채가 시차를 두고 성장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 빚이 많을수록 이자상환 부담이 커져 여윳돈이 부족해지고 결국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이 39개국을 대상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경기 침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3년 누적으로 1%포인트 상승하면 4~5년의 시차를 두고 경제성장률(3년 누적)이 0.25~0.28%포인트 하락했다.

출처=한국은행
출처=한국은행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넘어설 경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70~80%일 경우 6년 뒤 중기 시계에서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아졌으나 80%를 넘어서면 1년 뒤 단기 시계에서도 성장률 하락이 관찰되고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우리나라는 이미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105.1%(작년 4분기 기준)로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한국은행이 분석이다. 따라서 이 비율이 80%에 근접하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가계부채의 급속한 축소는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은 완만한 속도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세계 주요 43개국 중 우리나라는 스위스(128.9%), 호주(113.6%)에 이어 3번째로 가계부채비율이 높았다. [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