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3:43 (목)
관련기사1. 2007년 시장 자유화... 환율제도 변경 불가피
관련기사1. 2007년 시장 자유화... 환율제도 변경 불가피
  • 이코노미21
  • 승인 2002.06.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4년부터 중국 위안화는 관리변동환율제를 쓰고 있다.
하루 환율 변동폭을 제도적으로 ±0.3%으로 묶어놓은 것이다.
그러나 실제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은 0.001% 사이에서 오가고 있다.
중국 외환시장이 출발했을 때만 해도 달러당 8.7위안에 달했던 환율은 현재 달러당 8.27위안대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98년 이후 지금까지 8.27~8.28위안 사이를 벗어난 적이 없다.
무역협회 무역전략팀 박진달 팀장은 “중국이 단기적으로 현재의 관리변동환율제도를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본다.
안정적 환율제도는 국제경쟁뿐 아니라 외국의 투자유치를 받는 데에도 매력이 있다.
그러나 중국도 WTO 가입 결정에 따라 2007년까지는 자본시장을 자유화해야 하므로 앞으로는 점진적으로 환율제도 개선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그는 덧붙였다.
현재 중국인민은행은 자유변동환율제 이행에 앞서 일일변동폭을 확대하거나 복수통화 바스켓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팀장은 “이중에서도 복수통화 바스켓제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그러나 시행되기까지는 2~3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다.
복수통화 바스켓 제도란 자국 환율을 미국 달러 외에 일본 엔, 독일 마르크 등 주요 교역상대국 통화의 국제시세에 연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외환당국은 80년대 경제 활황기에 이 제도를 도입한 적이 있다.
자유변동환율제를 도입하기 위해 중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상당히 많다.
가장 큰 고민거리는 국영은행의 부실채권 문제와 취약한 금융시스템이다.
현재 중국 자본시장 개방 수준은 5%에 불과한 상황이다.
또 WTO 가입 영향으로 수입 자유화가 이뤄지면서 중국의 무역흑자가 적자로 반전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자유변동환율제 이행은 피해갈 수 없는 길이다.
WTO 가입 때 했던 약속도 지켜야 하거니와 아시아의 국제통화로서 위안화의 지위를 탄탄하게 다져야 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