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7:18 (금)
1. 남북 농업 협력도 급물살
1. 남북 농업 협력도 급물살
  • 이코노미21
  • 승인 2004.09.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천시의 ‘금강산 과수원’을 필두로 남북 농업 협력을 위한 발걸음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그동안 남북 농업교류는 다른 경협에 비해 속도가 늦은 편이었다.
남과 북이 공동으로 진행한 사업은 ‘금강산 과수원’이 거의 유일하고, 나머지는 북한에 농기계와 비료 등을 지원하는 데 그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가운데 농업교류를 민·관이 함께 모색하는 기구가 설립되는 등 농업교류에서도 속도를 높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 8월20일 발족한 ‘남북농업협력추진협의회’(위원장 허상만 농림부 장관)다.
협의회에는 허 장관과 함께 강정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 황민영 통일농수산포럼 이사 등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앞으로 “생산 기반 정비, 종자개량 등 북한의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개별 지자체도 남북농업 교류를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지난 5월27일 양구군 펀치볼 일대 29만7천㎡를 남북농업교류 중심지로 육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원도는 특히 북한 농업환경에 맞는 신품종 개발을 위해 총 25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농업개방 시대에 남북을 잇는 유기농 벨트 조성이 한반도 농업이 살아남는 길이라는 주장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농림부 장관을 역임한 김성훈 중앙대 교수는 지난 8월19일 오후 열린 ‘쿠바는 어떻게 식량 위기를 벗어났나’ 주제의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정책포럼에서 “1991년 옛 소련의 해체로 비료·농약 등을 공급받을 수 없게 된 쿠바는 식량위기를 유기농업을 통해 극복했다”며 “북한도 퇴비 등 유기농법을 구사할 수 있는 물자만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면 유기농을 통해 국민 건강과 생명, 환경을 동시에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현재 유기농과 관련된 농작물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중국 유기농산물이 수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 농업 장래를 위해 깊이 고려해야 할 측면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