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6:14 (화)
[CEO칼럼] ‘공교육과 사교육’ 손을 잡아라
[CEO칼럼] ‘공교육과 사교육’ 손을 잡아라
  • 이코노미21
  • 승인 2007.02.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성용 푸른일삼일팔 대표 인간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중 ‘교육’은 ‘의료서비스’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힌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정부는 물론 다양한 사회단체와 기업이 ‘교육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에 앞장서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의 교육서비스는 외형적 형식은 물론 콘텐츠의 질적 수준까지 세계 으뜸으로 꼽히고 있다.
말 많고 탈 많은 현 교육계의 현실을 감안할 때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대목에서 의구심을 표현할 테지만 위의 내용은 명백한 사실이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e러닝 분야는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초, 중, 고, 대학생 및 직장인에 대한 학습 커리큘럼과 학습내용,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소통방식 등과 관련한 노하우는 세계 각국의 벤치마킹 사례가 되고 있다.
EBS 등의 공기업과 대학입시를 주관하는 교육부에는 심심찮게 세계각지의 교육관련 기관 및 기업이 견학을 의뢰해 온다.
비단 공공기관 만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사교육시장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지난 1월에는 필자가 일하고 있는 회사로 일본 굴지의 교육그룹인 ‘베네세’의 임원진이 견학을 다녀갔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중고등학생의 e러닝 교육 노하우를 배우고 싶다는 것이 이유였다.
우리 사회가 교육문제에 대해 왈가왈부하며 우리 교육현실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고 있을 때, 세계의 정부와 기업들은 ‘대한민국 교육의 장점’을 포착하고 이를 배우고자 열을 올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교육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면 ‘말 많고 탈 많은’ 교육시장이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을까? 필자가 생각하는 답은 바로 ‘사교육의 친(親)공교육화’이다.
현재, 필자의 회사는 교육 소외 지역인 강원도 시골학교의 선생님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협의 중이다.
대도시의 1개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전교생 수에, 재정적인 문제로 과목별 선생님조차 부족한 그곳에서는 우리 사교육 시장이 발달시킨 든든한 e러닝교육 시스템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도시 학원의 약 1/30의 비용만 있으면 교육 소외지역인 시골학교의 학생들이 강남 8학군 유명강사들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할 수 있다.
이마저 부담되는 학부모들에게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대신 교육비를 납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최소의 비용으로 지역주민의 도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학부모는 지방 거주의 최대 갈등요인이었던 자녀교육 문제가 해결되니 일석이조이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그리는 ‘사교육의 친(親)공교육화’의 한 예다.
‘공교육-사교육’을 분리해 생각하는 이분법의 시대는 곧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
몇 년 안에 한국의 교육기업과 정부가 세계의 교육기업과 정부와 경쟁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따라서 사교육의 확대를 제지하고 공교육의 허점을 문제화 하는 대신, 양쪽의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상호 보완하는 것이 향후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힘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