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6:14 (화)
[커버스토리]중소기업 육성해야 경제에 생기가 돈다
[커버스토리]중소기업 육성해야 경제에 생기가 돈다
  • 신승훈 기자
  • 승인 2008.03.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전 산업 사업체수의 99.9%이며 전체 고용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1000만 명을 넘는 국민들이 이곳에서 일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설립됐다.
중소기업 지원은 본원의 사명이자 자부심이다.
” 나경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의 지적처럼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국가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
특히 요즘은 국가는 물론 대기업에서도 협력사 등 중소기업 육성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
세계시장에서 거대기업과 당당히 자웅을 겨룰 수 있는 중소기업이 있어야만 완제품사인 대기업도 경쟁력이 생긴다는 상관관계를 피부로 느끼기 때문이다.
흔히 중소기업을 ‘산업의 허리’라 부르는 것 역시 이 같은 막대한 경제적 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자금과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에 ‘고충 해결사’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나경환 원장은 중소기업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에 강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 일답. 중소기업이 발전해야 할 이유에 대해 말씀해주신다면 중소기업은 우리산업의 뿌리이자 기둥이다.
자동차, 선박, 반도체 등의 국가 주력산업도 여기 부품 소재를 공급해 주는 중소기업이 없다면 껍데기만 남는다.
몸에 비유한다면 부품 소재는 내장기관이나 마찬가지이고, 이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중소기업이다.
아무리 체격이 커도 장기가 부실하면 튼튼한 체력을 가질 수 없듯이, 내장기관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이 건강해야 우리 경제가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
중소기업이 잘 되야 하는 두번째 이유는 인구의 88%나 되는 국민들이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가족들까지 포함하면 국민의 절대 다수라 할 것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은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설립됐다.
중소기업 지원은 생기원의 사명이자 자부심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다.
주요 전략 목표에는 어떤 것이 있나
중소기업 지원을 전담할 전문 연구기관이 부재하다는 지적에서부터 설립이 결정됐다.
1989년 설립 당시부터 ‘실용화 연구 개발’, ‘개발된 결과의 중소기업 지원’, ‘지역 특화기술 개발 선도’, 그리고 ‘국가 전략기술사업의 관리•평가’ 기능을 4대 임무로 안고 출범했다.
중소기업인들을 위한 기술 자문에서부터 시제품제작, 정보, 인력, 장비,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One-stop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기업의 아이디어를 연구 개발해서 상품화하기까지의 전 과정이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고 보면 된다.
‘잠자는 기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국내선 기술의 상용화 비율이 낮다.
지원사업 중 기술 실용화는 어느 정도인가
생기원의 R&D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생산기술, 즉 ‘더 좋게, 더 싸게, 더 빨리’ 만들 수 있는 생산기술을 개발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기획단계에서부터 철저히 실용화 위주 연구 개발을 수행한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개발 과제의 실용화 비율이 가장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지원할 중소기업의 수가 무척 많다.
중소기업 지원 부문의 성과는 건수만을 놓고 보면 한 해 평균 7만 건 정도 된다.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체가 100만 개에 달하는 사실을 고려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래서 3만 개의 기술 주도형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 대상으로 잡고, 적어도 이들 기업에 대해서는 지원사업의 영향이 두루 미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현실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선택과 집중전략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관련해 추진중인 프로젝트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중소기업 지원 효과가 높은 강점분야를 선별해 관심과 지원을 집중함으로써 우수 연구 성과를 창출 하고, 그 결과를 관련 중소기업 현장에 이전하자는 취지로 역량을 집중해 왔다.
국가 주력산업 및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근간이 되는 부품소재산업은 곧 생산기반기술이 집약된 결과이기 때문에 생기원 연구활동도 자연히 생산기반기술 분야에 집중돼 있다.
디지털설계연구단의 ‘사이버 엔지니어 U24’와 e가공공정팀의 ‘i매뉴팩처링’은 모두 생산기반기술에 IT를 결합, 관련 중소기업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첨단 엔지니어링 기술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i-매뉴팩처링’은 정보의 공유와 협업이라는 데에 큰 의미를 지닌 같다.
정보제공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나
‘i-매뉴팩처링’은 웹상에서 기업 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B2B처럼 기업과 기업이 서로 거래하기 위해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동종업체들이 웹상에서 기술협업을 잘 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는 고속도로를 깔아 기업들이 빠르게 잘 달릴 수 있도록 지원할 뿐이다.
엄청나게 중요한 도면들이 올라오는 등 첨단 데이터를 가지고 협업하기 때문에 파일 하나하나에 대해 철저한 보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이나 모비스 같은 대기업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최근 추진중인 국가 전략기술개발사업 관리•평가에는 어떤 것이 있나 현재는 바이오 의약품 기업들이 선진국에서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키며 제품생산을 할 수 있도록 국가 지원을 받아 설립한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우리 중소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산업활동을 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운영, 포장 관련 기업들을 지원하는 ‘포장기술종합지원센터’ 운영도 정부를 대신해 주관하고 있는 국가 전략기술개발사업이다.
지역별 특화 기술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 지역 기업들과 밀착된 연구센터를 만들어서 분산형 조직의 성공적 모델을 제시해야 하는 것은 생기원의 자생력을 높이는 것을 넘어 반드시 달성해야 할 임무다.
생기원은 출범 당시부터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협회를 벤치마킹, 해당 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계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활성화시켜 왔다.
천안을 비롯해 인천, 안산, 광주, 부산 등 전국 주요 기업 밀집지역에 11개의 연구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책임운영시스템 가동, 센터별 성과지표 개발 등으로 내실을 키움으로써 지역센터의 특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자금으로 알려져 있다.
현장에서 만나는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평가는 어떤가
역시 자금 문제가 가장 크고, 그 다음 인력부족을 꼽는 분들이 많다.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제품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기술 개발을 담당할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이다.
가뜩이나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우수 연구인력을 초빙하려면 상당히 매력 있는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데, 그게 여의치가 않은 거다.
R&D 인력뿐 아니라, 생산현장의 기술인력 부족도 심각하다.
정부에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펴 왔음에도 여전히 인력수급의 불균형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있다.
중요한 것은 효율성인데, 생기원이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관련해 중소기업에 도움이 될만한 프로그램이 있다면 소개를 부탁드린다.
디지털가상설계팀이 개발한 ‘사이버엔지니어 U24’의 경우 부품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최종 완성품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직접 만들지 않고도 미리 제품의 최종 품질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부품 불량률이 거의 제로가 된다.
게다가 시행착오가 없는 만큼 인력과 시간, 비용이 줄어든다.
이를 보급을 확대한다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중소기업이 생산기술연구원의 지원을 획득할 수 있는 자격요건이 같은 게 있는가. 또, 지원요청 방법은? 기술 지원을 받기 위한 특별한 자격 같은 것은 없다.
중소기업이 지원을 요청하면 우리 원이 할 수 있는 한 그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한다는 것이 원칙이다.
중소기업지업본부 아래 기술지원 Hotline이 개설돼 있다.
우선 이 곳을 통해 문의를 하면 해당 분야의 지원 책임자들을 연결한다.
생기원의 모든 연구조직은 분야를 막론하고 R&D와 기술 지원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책임자들과 협의하시면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기술지원 사업을 현장애로기술지원, 현장생산기술자문사업, Pilot Plant 특화 기술개발사업, 특허기술평가지원, 신기술사업화, 기술 이전, 공용실험실 개방, KOLAS 공인인증사업, 국내외 인력양성사업 등 내용별로 구분해 놓고 있다.
신승훈 기자 shshin@economy21.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