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14 (목)
[CEO칼럼]로봇 산업, 민관의 창의적 협력 절실
[CEO칼럼]로봇 산업, 민관의 창의적 협력 절실
  • 이노메탈이지로봇㈜ 조원태 대표
  • 승인 2008.03.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나 휴대폰 정도는 아니라도 축구로봇은 우리가 세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RT(Robot Techonology) 분야 중 하나다.
이 분야는 전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막강한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자랑하고 있다.
지난 1995년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에서 탄생한 이래 올해로 18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니, 축구로봇의 종주국인 셈이다.
로봇은 융합 기술(Fusion Technology)의 결정체인 동시에 첨단 산업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기술이기도 하다.
핵심부품인 소형모터, 센서, 계측기기 등은 산업간 기술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 첨단 지식기반 산업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과거 정부는 2020년 세계 로봇시장 규모를 1조4000억 달러로 추정하고 로봇산업을 차세대 10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해 지원해 왔다.
새 정부에서도 산업자원부를 중심으로 로봇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로드맵을 준비 중이라고 하는 데, 교육용 로봇 등이 우선적인 검토 대상이라고 한다.
실제 교육용 로봇은 자녀 교육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것은 감안한다면 ‘킬러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교육용 로봇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축구용 로봇에서 우리나라가 이미 세계적인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축구로봇에 익숙한 어린이, 청소년들은 물론 교육적 효과를 중시하는 학부모들에게 한 단계 발전된 교육용 로봇에 대한 시장 반응은 훨씬 빠를 것이다.
축구 로봇이 시장에 안착하는 데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면 교육용 로봇은 3~5년 이내면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아직까지 로봇산업은 초창기 상태이지만 우리의 기술 수준이 선진그룹에 속하는 만큼 우리가 ‘킬러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시장 확산에 성공하면 곧 세계 1등이 되는 것이다.
세계 1등의 되기 위해선 정부와 민간에서 다양한 차원의 창의적인 협력 모델이 나와야 한다.
정부는 물론 대기업, 지자체 등이 로봇산업에 대한 관성적인 인식에서 탈피해야 한다.
이미 OECD, EU 국가는 물론 미국도 국가예산을 동원해 로봇 개발과 유통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각 국 정부의 이 같은 노력은 로봇업체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로봇 전문기업들이 제품개발에 매진해 글로벌 시장을 석권할 수 있도록 정부의 R&D 투자는 물론 유망 제품의 시장화를 위한 자본투자 및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한 촉진형 투자 등이 진행될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