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14 (목)
[CEO칼럼]태양광 전지, 국가 정책과제 육성 시급
[CEO칼럼]태양광 전지, 국가 정책과제 육성 시급
  • 이상철 미리넷솔라 회장
  • 승인 2008.04.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 살리기’를 모토로 내세운 이명박 정부가 미래의 신성장동력이 될 국가 산업 정책에 대한 청사진으로 ’747정책‘을 내놓았다.
MB노믹스로 대표되는 ’747정책‘은 급성장하는 중국과 선진국인 일본 사이에 낀 샌드위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정부는 이러한 비전에 미래 먹거리로 육성할 10가지 산업을 선정했고 기존 산업에 인프라를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도 여기에 포함시켰다.
무척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산업현장에서 느끼는 체감온도는 너무나 냉랭하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도 11개에 이르고 태양광 밸류 체인(value chain)분야인 태양광전지에 정부 정책이 닿기까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태양광전지 분야는 반도체 메모리, LCD 디스플레이 등과 산업 구조가 유사해 태양광 발전의 밸류 체인에 국한하지 않는다면 향후 IT기술 용합(컨버전스)으로 미래 우리의 환경을 획기적으로 변모시킬 최첨단 산업 분야이다.
청정에너지에 오염물질 배출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기까지 하니 하늘이 준 고귀한 선물이라 일컬을 만하다.
포톤컨설팅 발표에 따르면 세계 태양광전지 시장규모는 지난 2007년 3.9GWp로부터 2010년 23.3GWp, 2012년 37GWp로 약 1200억 달러에 이르며 향후 5년간 연평균 30%를 웃도는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산업전문지 포톤인터내셔널 3월호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2010년 0.8GW에 이를 것으로 예측돼 국가 신성장동력에 박차를 가할 태양광을 정부가 정책과제로 선정, 산-학-연이 함께 힘을 모으는 지혜가 필요하다.
특히 태양광의 제조공정 전체가 1MWp당 약 30여명의 인력과 대규모 생산설비, 공장부지 등을 필요로 해 각종 규제정책을 완화하고 국가 차원에서 강력하게 육성한다면 고유가, 물가 상승기에 고용 불안을 해결할 돌파구일 것이다.
이미 독일, 미국이 주도하는 태양광 시장에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등 국가들도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와 교토의정서 발효로 인한 온실가스(CO₂)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 산업으로 태양광을 정책적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다.
얼마 전 국내에서 열린 태양광 컨퍼런스에서도 최근 급성장하는 세계 태양광 시장의 변화에 주목하고 우리나라가 경제 발전의 신성장동력을 태양광에서 찾고 국가 정책과제로 선정해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모은 바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태양광전지 효율 및 원재료 기술 향상을 위해 아낌없는R&D 투자와 ‘죽을 각오로 임한다’는 도전정신이 요구된다.
또한 생산 현장에서는 제조 원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원재료 기술개발과 가로등, 공공건물 옥탑 뿐 아니라 자동차, 생활가전 등 차세대 전지로서 광범위하게 상용화할 수 있는 응용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육성정책이 동반될 때 우리나라는 에너지 안보와 ‘경제 부국’으로의 지름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이공계 인재를 양성하고 산-학이 공동으로 기술 개발에 힘을 모을 때 ‘세계 TOP3 태양광 국가'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상철 미리넷솔라 회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