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03 (금)
극소저체중아 생존률 높이기 프로젝트 가동
극소저체중아 생존률 높이기 프로젝트 가동
  • 박선영 기자
  • 승인 2013.04.15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신생아네트워크'…출생 직후부터 생후 3년까지 추적 관리

극소저체중아 생존률을 높이기 위한 민관 공동 프로젝트가 가동된다.

국립보건연구원과 대한신생아학회는 삼성서울병원을 중심 연구기관으로 극소저체중아를 출생 직후부터 생후 3년까지 추적 관리하는 전국 단위의 '한국신생아네트워크'가 15일 공식 출범한다.

5년 간 추진 예정으로 시작되는 이번 사업은 초기 3년간 9억8000여 만원을 투입해 웹 기반 등록 시스템을 구축한 후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향후 2년간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 집중 치료법을 개발, 극소저체중아의 생존률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체중 2500g미만의 소아를 저체중아라고 정의하고, 이 중에서도 출생 체중 1500g미만의 소아는 '극소저체중아'로 분류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아는 1993년 929명에서 2011년 2935명으로 300%이상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년간 우리나라 연간 총 출생아수는 72만 명에서 47만 명으로 약 34%가량 감소했지만, 산모의 노령화, 난임 등의 이유로 저체중 출생아들은 급격한 증사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노산, 난임등의 이유로 전체 출생아수는 감소하는 반면, 극소저체중아의 출생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패혈증을 비롯한 여러 중증합병증을 동반해 신생아 사망률을 높일뿐 아니라 성장발달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극소저체중아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사업이 1987년부터 시작해 1991년 완성, 이후 10년간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존률을 85%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일본 역시 97년부터 구축한 네트워크를 계기로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89%까지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신생아 집중치료를 본격적으로 시자해 일부 병원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은 83% 정도이나, 초극소저출생체중아(1000g 미만)의 생존률의 경우 60% 수준이다.

이번 치료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내에서도 극소저체중아의 생존률을 선진국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국립보건연구원과 대한신생아학회는 이번 연구과제를 주도하는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5일 오후 5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세미나실 3번방에서 과제 발대식을 가질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