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03 (금)
작년 일자리 71만개 증가...절반이상 고령층
작년 일자리 71만개 증가...절반이상 고령층
  • 임호균 기자
  • 승인 2021.12.07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0세 이상 일자리 38만개 증가
청년층 일자리 8만개 증가 그쳐
남성 일자리 여성보다 1.4배 많아
대기업 일자리 6만개 증가
중소기업 45만개, 비영리기업 19만개 증가

[이코노미21 임호균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일자리가 직전년도 대비 71만개 넘게 늘어났지만 증가한 일자리의 절반 이상은 60t 이상 고령층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는 취업자와 다른 개념으로 회사원 1명이 ‘투잡’을 뛰었을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계산된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0년 일자리 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472만개로 1년 전보다 71만개(2.9%)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일자리가 1년 전에 비해 38만개(10.7%)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53.5%)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고 50대 일자리는 18만개(3.2%), 40대 일자리는 10만개(1.6%) 늘었다.

반면 청년층 일자리는 전년 대비 8만개 증가에 그쳐 30대 일자리는 6만개(1.1%), 20대 일자리는 2만개(0.5%) 늘었다. 특히 19세 이하 일자리는 전년 대비 3만개(-18.8%) 감소했다.

임금근로 일자리의 경우에는 19세 이하(-3만개) 뿐만 아니라 20대에서도 3000개 감소했다. 이에 반해 30대 이상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57만개 증가했다. 또 60세 이상은 26만개로 가장 크게 늘어났다.

양과 질 모두에서 일자리의 남녀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남성 일자리는 1423만개로 전체의 57.6%를 차지했다. 여성 일자리(1049만개)보다 약 1.4배 많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 남성 일자리 비율은 각각 64.4%, 61.2%로 여성보다 더 많았지만 비영리기업에서는 여성 비율이 58.2%로 더 많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에서는 남녀의 일자리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30대 이상에서 남성 일자리 비율은 58.6%에 달해 여성과 격차가 벌어졌다.

이는 여성의 경력 단절 현상이 30대 이상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분석이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이상∼2년 미만 일자리가 551만개(22.3%)로 가장 많았다. 1년 미만(18.1%), 2년 이상∼3년 미만(15.8%), 3년 이상∼5년 미만(15.4%)이 뒤를 이었다. 근속기간 10년 이상∼20년 미만 일자리는 9.6%, 20년 이상 일자리는 5.1%에 그쳤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5.2년으로 집계됐다.

또한 대기업 일자리는 6만개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중소기업은 45만개 늘고 비영리기업 일자리도 19만개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신규 일자리 333만개 중 79.0%인 263만개는 중소기업이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21]

임금근로 일자리의 경우에는 19세 이하(-3만개) 뿐만 아니라 20대에서도 3000개 감소했다. 이에 반해 30대 이상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57만개 증가했다. 또 60세 이상은 26만개로 가장 크게 늘어났다. 사진=이코노미21
임금근로 일자리의 경우에는 19세 이하(-3만개) 뿐만 아니라 20대에서도 3000개 감소했다. 이에 반해 30대 이상에서 임금근로 일자리가 57만개 증가했다. 또 60세 이상은 26만개로 가장 크게 늘어났다. 사진=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