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03 (금)
리서치센터장 “중국 실질 경제성장률 올해 3.4%, 내년 4.9%”
리서치센터장 “중국 실질 경제성장률 올해 3.4%, 내년 4.9%”
  • 김창섭 기자
  • 승인 2022.10.18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7년 중국의 명목GDP, 미국의 84.5% 수준에 도달
‘미․중 갈등 심화’ 68.5%...‘양안 긴장관계 심화’ 57.9%
‘한국의 대중 수입의존도 완화될 것’ 47.4%
김봉만 국제본부장 “중국 의존형 수출전략 바꿔야”

[이코노미21 김창섭]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시진핑 집권 3기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5%에 못미치고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만큼 중국 의존형 수출전략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마지노선으로 여기는 6%를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이 예측이 현실화되면 전체교역의 1/4을 중국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성장률도 반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6일 개막한 중국 공산당 제20차 당대회(10월16일~10월22일) 이후 중국 경제․정치정책 변화에 대한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올해 3.4%, 내년 4.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리서치센터장들은 시진핑 주석의 집권 3기 마지막 해인 2027년 중국의 명목GDP가 미국 명목GDP의 84.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중국 경제성장 둔화가 예상되긴 하지만 여전히 미국 성장률보다는 높을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리서치센터장들은 시진핑 집권 3기 중 미․중 갈등이 심화(68.5%)하고 양안 긴장관계 또한 심화(57.9%)하겠지만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은 낮다(84.2%)고 봤다.

조사 결과 러시아산 원유 교역을 중심으로 밀월관계에 있는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는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52.6%로 가장 높았다. 또 9월부터 미사일 발사 등 돌발행동을 계속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정권과의 관계도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73.7%)이 가장 많았다.

리서치센터장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난해 8월 천명한 공동부유정책과 이에 따른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등 빅테크기업 규제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 47.4%로 나타났다. 반면 42.1%는 완화될 것이라 응답했다. 또 ‘제로 코로나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94.7%가 완화할 것이라 답했다. 이는 당대회 이후 경제살리기 노력 강화가 전망되고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감염자가 최근 1000명 미만을 유지하는 등 안정세에 접어든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7년 이후 시진핑 주석의 재집권 가능성에 대해 응답자의 57.9%가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다만 낮다고 응답한 비중도 42.1%나 됐는데 2027년 21차 당대회 때 시진핑 주석의 나이가 74세로 고령인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바이든 미 행정부가 중국 견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의약품, 희소금속 등 4개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자국 공급망 재구축으로 교역, 직접투자 등 한․중 경제관계가 약화하고 있는 가운데 시진핑 집권 3기 한․중 관계에 대해 응답자의 57.9%가 현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국 제20차 당대회 이후 한․중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은 응답자의 47.4%가 높다고 봤다.

한국의 대중 수입의존도는 응답자의 47.4%가 완화될 것이라 예상한 가운데 최근 4개월(5~8월) 대중 무역수지 적자 현상은 응답자의 57.9%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중 수입의존도가 심화하고(15.8%), 대중 무역수지 적자가 더욱 심화(26.3%)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5% 내외에 그칠 가능성이 높고, 미․중 갈등 및 양안 긴장관계 또한 고조될 것이라는데 의견이 모아진 만큼 중국 의존형 수출전략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의 대중국 무역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품목에 대한 대중국 수출 지원방안 수립 ∆한․중 정상회담 조기 개최, 한․중 장관급 정례회의를 통한 기업의 대중국 시장접근 개선 ∆중국 진출 우리 기업의 국내 유턴을 위한 지원 정책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21]

사진=이코노미21
이미지=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