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03 (금)
관련기사1. 부실경영 꼬리표 떼고
관련기사1. 부실경영 꼬리표 떼고
  • 이코노미21
  • 승인 2002.05.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화그룹의 대한생명 인수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한화그룹은 지난 3월 경합을 벌이던 메트라이프생명이 떨어져나가면서, 예금보험공사와 단독으로 대한생명 인수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가격외 조건’이 한화를 가로막았다.
우선 과거 한화종금과 충청은행을 부실하게 경영하지 않았느냐는 꼬리표가 따라붙었다.
한화종금은 98년 퇴출됐고, 한화가 대주주였던 충청은행은 하나은행에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넘어갔다.
실제로 충청은행 부실 책임문제는 지난해 한화의 선물업 진출을 가로막은 요인으로 작용했다.
3월 금융감독원에 적발된 한화, 한화석유화학, 한화유통 등 3개 계열사의 분식회계도 악재로 대두됐다.
참여연대와 사무금융노련 등은 분식회계로 제재를 받은 한화그룹에 대한생명을 넘기면 안 된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는 4월22일 성명을 통해 “대규모 적자를 숨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실적을 부풀린 산업자본에 막대한 국민 혈세가 투입된 금융기관을 맡기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화쪽은 이에 대해 “한화종금 부실에 대한 책임 문제는 2000년 한화기술금융 설립 인가를 받기 위해 증권금융 채권 1300억원어치를 저리에 인수하면서 정리됐다”고 설명해왔다.
또 “제안을 받고 인수에 참여했다”며 “과거 부실과 분식회계 문제는 법적으로 결격사유가 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어진 상태”라고 강조했다.
상황은 4월24일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의 한마디로 뒤집혔다.
전 부총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대한생명 매각은 인수기업의 적정성보다는 공적자금 회수 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매각가격을 현재 거론되고 있는 1조1천억원 안팎에서 2조원으로 올리려면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따져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한화는 협상 테이블에 널려 있던 가격 이외의 변수들이 치워졌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는 대한생명에 투입된 공적자금 3조5천억원을 최대한 회수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한생명이 지난 3월 마감한 2001 사업연도에 8400억원의 배당전 순이익을 내는 등 실적이 호전된 점도 매각대금을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화와 예금보험공사는 4월초 자회사인 신동아화재와 63빌딩을 포함한 대한생명 인수가를 1조1천억원 안팎에서 협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일본 오릭스그룹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메커리보험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한화가 치를 대금은 5천억원 정도로 추정됐다.
이제 값이 오르게 됐지만 한화는 담담한 모습이다.
한화의 한 임원은 “계열사들의 현금성 자산이 1조원에 이른다”며 “가급적 빨리 양단간 결정이 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수가가 올라도 감당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얘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