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03 (금)
2. 제작기술, 걸음마 뗄까 말까
2. 제작기술, 걸음마 뗄까 말까
  • 이현호 기자
  • 승인 2003.11.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자·소재 등 타산업으로 파급효과 높아…방위산업과 연계, 성장성에 한계 미국의 항공기산업은 우리나라의 90여배에 달한다.
영국 및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선진국의 항공기산업도 우리나라의 항공기산업에 비해 10배 내외의 큰 규모를 보인다.
스페인, 캐나다, 벨기에, 대만, 브라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의 국가도 항공기산업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2배 안팎으로 훨씬 앞서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에 대한 ‘미래지향적 투자전략’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무엇보다 항공기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은 국가전략산업이다.
항공기산업은 부가가치율이 36.2%로, 제조업 평균 27.2·%, 자동차 33.7% 등에 비해 월등히 높다.
산업발전 측면에서는 체계종합기술이나 생산가공기술과 소재기술, 전자기술 등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환경과 기상, 지진관측, 자원탐사 측면에도 응용할 수 있다.
그밖에 국토 및 교통관리측면에까지도 항공기의 이용범위가 넓어지면서 지상 교통체증을 분석한 3차원 지도제작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항공기산업은 특히 국가안보에 필수적인 방위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군사력을 확보하고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국가전략적 핵심산업인 것이다.
예컨대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선진국은 2차 대전을 계기로 항공기산업을 육성시켜, 오늘에는 최첨단 항공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더욱이 민간항공기 수요보다는 군수부문의 수요가 훨씬 큰 추세다.
건교부 항공정책과 관계자는 “최근까지 군수부문이 미국은 60%, 영국은 65%를 차지하고 있다”며 “대만과 이스라엘 등의 국가들도 군사 목적의 차원에서 항공기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국내 항공기산업은 지금 어디까지 와 있을까. 국내에서는 항공기산업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항공기산업을 ‘전략산업‘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종태 세종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항공기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타산업에도 밀접한 파급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가치가 무한하다”고 말한다.
국내에서 항공기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는 데 가장 힘을 실어주는 것은 산업자원부 후원으로 해마다 열리는 ‘코리아에어쇼’라고 할 수있다.
에어쇼는 최첨단 항공기술이 펼쳐지는 무대여서 항공기산업을 촉진할 견인차로 평가받고 있다.
에어쇼에 참가한 항공업체들 간에는 큰 프로젝트 계약이 성사된다.
예컨대 올해 에어쇼 기간 동안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미국 벨과 ‘427 헬기 성능개량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대한항공도 보잉과 아시아지역 군수지원센터를 김해공장 안에 세우고, 공동 시장개발에 나서기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최근에는 정부가 항공산업 육성책을 밝혀 항공기산업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지난 9월16일 산자부는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주관으로 열린 ‘항공우주산업 발전 세미나’에서 “2015년까지 헬기와 훈련기 수출국으로 도약해 세계 10위권으로 육성할 것이며, 나아가 항공전자 등 주요 항공부품의 세계 공급기지로 발돋움시키겠다”고 밝혔다.
또한 산자부는 “수출형 군수부문과 함께 민간 항공기부문을 육성해 세계적인 항공산업국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기대만큼이나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항공기산업이 장기적으로 투자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하면서도 항공기산업의 국가전략화 가능성에 대해선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이 자칫 ‘수박 겉핥기’에 그칠지도 모른다”고 의구심을 드러냈다.
실제로 항공기산업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거나 이제 막 초기단계를 벗어난 상태다.
가장 큰 원인은 미국의 군사적 제한 때문에 성장성에 한계를 지녔기 때문이다.
지난 50년간 산자부 차원에서 항공기산업 육성책이 수립되거나 시행된 경우가 한 번도 없을 정도다.
세계적인 항공기산업 국가들에 비해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도 국내 항공기산업이 안고 있는 약점이다.
연구인력과 제조인력 등 항공기산업 인력은 연평균 3%대의 증가율을 보이는 데 이 정도로는 어림도 없다는 얘기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항공기산업이 정착되기도 전에 와해될 것이라는 주장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우려의 목소리를 잠재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양대 조진수 기계공학부 교수는 “항공기산업의 조속할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기존의 항공운송산업과 연계하는 국가적인 ‘집중과 선택’이 급선무”라고 지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